52주 최저가 주가 폭락, 미국 캐나다 은행주 토론토 도미니언뱅크 TD 배당금 배당일

현금흐름의 물결을 타는 서자다. 오늘도 ‘악재가 기회다’를 콘텐츠로 돌아왔다. 악재가 생겨 급락한 주식을 보고 매력이 있는지 판단해보는 것이다. 나는 주식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내 수준으로 쉽게 알아보려고 하니 투자는 각자 심층적으로 분석을 한 후 실행했으면 좋겠다. 1. 회사 소개 현금흐름의 물결을 타는 서자다. 오늘도 ‘악재가 기회다’를 콘텐츠로 돌아왔다. 악재가 생겨 급락한 주식을 보고 매력이 있는지 판단해보는 것이다. 나는 주식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내 수준으로 쉽게 알아보려고 하니 투자는 각자 심층적으로 분석을 한 후 실행했으면 좋겠다. 1. 회사 소개

토론토 도미니언뱅크(TD)는 캐나다 계열 은행이다. 기본적으로 캐나다 주식시장에 상장돼 있지만 미국 시장에도 상장돼 있다. 캐나다 은행 순위를 검색해보면 대부분 상위권에 랭크돼 있을 정도로 규모가 있는 은행들이다. 위키피디아에 캐나다 5대 은행 관련 자료가 있다. 그중 TD는 로열뱅크오브캐나다에 이어 2위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차이도 거의 없다. 한국으로 치면 신한, KB, 하나, 우리은행 같은 곳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 토론토 도미니언뱅크(TD)는 캐나다 계열 은행이다. 기본적으로 캐나다 주식시장에 상장돼 있지만 미국 시장에도 상장돼 있다. 캐나다 은행 순위를 검색해보면 대부분 상위권에 랭크돼 있을 정도로 규모가 있는 은행들이다. 위키피디아에 캐나다 5대 은행 관련 자료가 있다. 그중 TD는 로열뱅크오브캐나다에 이어 2위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차이도 거의 없다. 한국으로 치면 신한, KB, 하나, 우리은행 같은 곳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

매출 내역을 보면 캐나다와 미국의 매출 비율이 비슷하다. 국가별 매출 현황으로는 캐나다 50%를 넘었지만 상당 부분의 매출이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다. 북미 지역에서 활약 중인 거대 은행이라고 보면 맞는 것 같다. 2. 주요지표현황 매출 내역을 보면 캐나다와 미국의 매출 비율이 비슷하다. 국가별 매출 현황으로는 캐나다 50%를 넘었지만 상당 부분의 매출이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다. 북미 지역에서 활약 중인 거대 은행이라고 보면 맞는 것 같다. 2. 주요지표현황

현 주가 52주 최저가 52주 최고가 시가총액 PERPBRROE 배당률 5352.7565.1298.983B 18.401.387.33%5.18% 현 주가 52주 최저가 52주 최고가 시가총액 PERPBRROE 배당률 5352.7565.1298.983B 18.40 1.387.33% 5.18%

주가: 차트를 보면 10월 중순에 한 번 급락했다가 어제 또 급락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시가총액: 98억달러로 상당한 규모의 은행이다. 미국 거대은행(JP모건, 골드만삭스 등)에 비하면 작지만 지역은행 수장인 USB보다는 큰(USB는 81억달러) 재무지표(PER, PBR, ROE): PER가 다소 높은 게 눈에 띈다. 다른 미국 은행주는 14개 안팎의 PER이지만 TD는 18개다. 이익에 비해 주가가 다소 고평가됐다고 볼 수도 있다. 배당률: 5.18%의 고배당주이다. 긍정적으로 전망한다면 지금 주가가 많이 하락했으니 이후 주가 상승 기대도 해볼 수 있다. 3. 급락의 이유 주가: 차트를 보면 10월 중순에 한 번 급락했다가 어제 또 급락했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시가총액: 98억달러로 상당한 규모의 은행이다. 미국 거대은행(JP모건, 골드만삭스 등)에 비하면 작지만 지역은행 수장인 USB보다는 큰(USB는 81억달러) 재무지표(PER, PBR, ROE): PER가 다소 높은 게 눈에 띈다. 다른 미국 은행주는 14개 안팎의 PER이지만 TD는 18개다. 이익에 비해 주가가 다소 고평가됐다고 볼 수도 있다. 배당률: 5.18%의 고배당주이다. 긍정적으로 전망한다면 지금 주가가 많이 하락했으니 이후 주가 상승 기대도 해볼 수 있다. 3. 급락의 이유

차트와 52주 최고가, 최저가 밴드를 보면 알겠지만 주가가 잘 움직이지 않는 종목이다. 하루에 -7%라면 엄청나게 폭락했다고 볼 수 있다. 왜 폭락했을까? 우선 10월 중순에 급락한 이유를 보자. TD가 미국 소매은행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금세탁 행위를 막지 못해 미국 정부가 TD에 막대한 벌금을 부과했다. 10월 주가가 폭락한 이유다. 악재가 터졌기 때문에 당연히 주가가 그동안 하락했다. 차트와 52주 최고가, 최저가 밴드를 보면 알겠지만 주가가 잘 움직이지 않는 종목이다. 하루에 -7%라면 엄청나게 폭락했다고 볼 수 있다. 왜 폭락했을까? 우선 10월 중순에 급락한 이유를 보자. TD가 미국 소매은행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금세탁 행위를 막지 못해 미국 정부가 TD에 막대한 벌금을 부과했다. 10월 주가가 폭락한 이유다. 악재가 터졌기 때문에 당연히 주가가 그동안 하락했다.

어제 4분기 실적 발표가 있었지만 기대치를 달성하지 못하면서 주가가 하락했다. 벌금과 실적 저조 이슈가 합쳐져 주가가 폭락했다고 보면 된다. 4. 재무분석 어제 4분기 실적 발표가 있었지만 기대치를 달성하지 못하면서 주가가 하락했다. 벌금과 실적 저조 이슈가 합쳐져 주가가 폭락했다고 보면 된다. 4. 재무분석

5년간의 매출 현황을 보면 나쁘지 않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매출이 소폭 줄었지만 마진이 오히려 조금 늘어나 2022년부터는 매출이 증가했다. 2023년에는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마진은 절반 이상 하락했다. 아주 훌륭하지도 나쁘지도 않은 재무성과를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5년간의 매출 현황을 보면 나쁘지 않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매출이 소폭 줄었지만 마진이 오히려 조금 늘어나 2022년부터는 매출이 증가했다. 2023년에는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마진은 절반 이상 하락했다. 아주 훌륭하지도 나쁘지도 않은 재무성과를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5. 투자 매력도 분석 5. 투자 매력도 분석

1) 북미 시장에서 활약 중인 거대 은행 위 사진은 2023년도 기준 북미에서 가장 큰 은행을 순위에 나열한 것이다. 5, 6위에 캐나다 은행이 올라 있고 TD가 6위를 차지하고 있다. 북미 시장에서 이 정도 규모의 은행에 투자를 하는 것은 위험할까? 지금은 악재가 터져서 주가가 떨어졌지만 장기적으로는 회복되지 않을까? 벌금 때문에 은행이 흔들릴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금이 인수 기회라고 볼 수 있다. 과거 우리은행의 700억대 횡령 사고를 생각해보자. 결국 주가가 회복된 거 아니야? 지금 악재가 단기적이라고 판단되면 인수를 검토할 수 있다. 2) 배당매력 1) 북미 시장에서 활약 중인 거대 은행 위 사진은 2023년도 기준 북미에서 가장 큰 은행을 순위에 나열한 것이다. 5, 6위에 캐나다 은행이 올라 있고 TD가 6위를 차지하고 있다. 북미 시장에서 이 정도 규모의 은행에 투자를 하는 것은 위험할까? 지금은 악재가 터져서 주가가 떨어졌지만 장기적으로는 회복되지 않을까? 벌금 때문에 은행이 흔들릴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되면 지금이 인수 기회라고 볼 수 있다. 과거 우리은행의 700억대 횡령 사고를 생각해보자. 결국 주가가 회복된 거 아니야? 지금 악재가 단기적이라고 판단되면 인수를 검토할 수 있다. 2) 배당매력

배당률은 5%대로 나쁘지 않은 편이다. 고배당주로 분류할 수 있다. 배당성향은 50% 정도로 역시 뛰어나다. 배당성장 기간은 다소 아쉬운 9년이다. 미국 주식 중 20년, 30년, 50년 배당금을 늘린 기업이 수두룩하니 9년 정도는 아쉽다. 배당성장률을 살펴보면 연평균 5%~10%다. 고배당주치고는 배당성장률이 높은 편이다. 5%가 넘는 고배당주는 보통 연평균 배당성장률이 5%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배당성장 기간이 짧은 것을 제외하고는 배당지표는 나쁘지 않다. 6. 배당금과 배당일 배당률은 5%대로 나쁘지 않은 편이다. 고배당주로 분류할 수 있다. 배당성향은 50% 정도로 역시 뛰어나다. 배당성장 기간은 다소 아쉬운 9년이다. 미국 주식 중 20년, 30년, 50년 배당금을 늘린 기업이 수두룩하니 9년 정도는 아쉽다. 배당성장률을 살펴보면 연평균 5%~10%다. 고배당주치고는 배당성장률이 높은 편이다. 5%가 넘는 고배당주는 보통 연평균 배당성장률이 5%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배당성장 기간이 짧은 것을 제외하고는 배당지표는 나쁘지 않다. 6. 배당금과 배당일

배당금은 올해 기준 주당 1.02달러를 지급한다. 지난해 0.96에 비해 6센트 늘었다.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보통 분기 개시 월 중순을 배당락일로 한다. 1월, 4월, 7월, 10월 중순 정도가 배당락일이다. 배당일은 해당 월의 말일이다. 최근 배당금은 10월 10일을 배당락일로 하여 10월 31일에 지급하였다. 일정상 내년 1월 중순이 다음 배당락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7. 결론 배당금은 올해 기준 주당 1.02달러를 지급한다. 지난해 0.96에 비해 6센트 늘었다.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보통 분기 개시 월 중순을 배당락일로 한다. 1월, 4월, 7월, 10월 중순 정도가 배당락일이다. 배당일은 해당 월의 말일이다. 최근 배당금은 10월 10일을 배당락일로 하여 10월 31일에 지급하였다. 일정상 내년 1월 중순이 다음 배당락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7. 결론

나는 개인적으로 현재 TD의 악재가 단기적이라고 생각하고 배당지표도 나쁘지 않기 때문에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걸리는 게 하나 있다면 그간의 주가 상승률이다. TD는 상장한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990% 상승했다. 같은 기간 JP모건(JPM)은 4,000%가량 상승했다. 물론 배당주는 배당을 보고 투자를 하는 것이지만 이왕이면 주가도 같이 오르는 게 낫지 않을까? 고민이 된다. 나는 개인적으로 현재 TD의 악재가 단기적이라고 생각하고 배당지표도 나쁘지 않기 때문에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걸리는 게 하나 있다면 그간의 주가 상승률이다. TD는 상장한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990% 상승했다. 같은 기간 JP모건(JPM)은 4,000%가량 상승했다. 물론 배당주는 배당을 보고 투자를 하는 것이지만 이왕이면 주가도 같이 오르는 게 낫지 않을까? 고민이 된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