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신호등에 또 7m짜리 ‘1열 신호봉’ 1개당 2200만원… 지방자치단체 누구나 대형차 숨은 신호 보여주기 위해 삼척시 최초 도입… 문의가 이어져 전국의 10%만 설치해도 1조 예산낭비·교통사고 우려 목소리 차량 신호등에 또 7m짜리 ‘1열 신호봉’ 1개당 2200만원… 지방자치단체 누구나 대형차 숨은 신호 보여주기 위해 삼척시 최초 도입… 문의가 이어져 전국의 10%만 설치해도 1조 예산낭비·교통사고 우려 목소리
충남 당진시 시청사거리의 차량신호보조장치(빨간점선 원안). 당진시 제공 충남 당진시 시청사거리의 차량신호보조장치(빨간점선 원안). 당진시 제공
지방 소도시가 교차로에 차량의 신호 보조 장치인 ‘일렬 싱호봉’을 경쟁적으로 설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신호를 긴 LED등이었고, 운전자의 인식률을 높인다는 취지지만 한개당 수천 만원에 이르는 예산 낭비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경찰도 ‘일렬 싱호봉이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22일 경찰에 따르면 전북 김제시는 최근, 신풍동 한 초등 학교 앞 삼거리에 차량의 신호 보조 장치를 설치했다.원형 3색 교통 신호를 지탱하는 깃대에 7m의 길이 옆 LED장치를 장착하는 방식이다.이 보조 장치는 운전자가 안개의 호우 등으로 정면을 예측하기 힘들거나 차체가 높은 버스 화물차를 맞닥뜨렸을 때 시야를 확보하도록 돕는다는 취지에서 8월 강원 삼척시가 처음 도입했다.아이디어를 지역 LED등 생산 회사가 내고 지방 자치 단체가 받아들인 사례다.이후 이 보조 장치가 전국에 알려지면서 다른 지자체도 도입을 서둘렀다.충남 당진시와 김제시가 설치하고 다른 지자체도 설치를 알아보고 있다고 한다.문제는 싱호봉 1개에 2200만원에 이르는 가격이다.전국 차량의 신호 47만 여곳 중 10%만이 설치해도 1조 원이 넘는 정도 걸리며 유지 관리비는 별도이다.싱호봉이 설치된 세곳은 평소의 통행량이 많은 지역도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김제시 관계자는 “미관상 뛰어나다는 의견이 많아 내년에 추가 설치를 고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의무 사항이 아니라 신호 보조 장치를 기르려면 지자체가 앞장 서는 것은 예산 낭비이고 포퓰리즘의 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경찰의 교통 전문가들은 일렬 싱호봉이 오히려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삼거리 이상의 사거리는 야간에 LED등이 교차로에 진입하는 다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싱호봉의 설치를 둘러싼 논란은 개당 1000만원을 넘는 보행자용’저점 신호’와 비슷한 면이 있다.2019년 3월에 도입된 바닥의 신호는 스마트 폰을 보면서 걷는 행인들 문제를 해결한다는 이유로 전국 지방 자치 단체가 경쟁적으로 설치했다.당시에도 경찰은 “보행자에게도 주의 의무가 있는데 마구 설치하는 것은 문제”고 말했다.바닥의 신호는 5년간 약 2200억원이 투입되며 전국에 만 1000여개 설치됐다.경찰청 관계자는 “신호 보조 장치를 설치할 때는 시·도경청 교통 안전 심의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면밀히 효과를 검토한 후 설치를 승인했다”이라고 말했다.박 시온/쵸쵸루오 기자 [email protected]지방 소도시가 교차로에 차량의 신호 보조 장치인 ‘일렬 싱호봉’을 경쟁적으로 설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신호를 긴 LED등이었고, 운전자의 인식률을 높인다는 취지지만 한개당 수천 만원에 이르는 예산 낭비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경찰도 ‘일렬 싱호봉이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22일 경찰에 따르면 전북 김제시는 최근, 신풍동 한 초등 학교 앞 삼거리에 차량의 신호 보조 장치를 설치했다.원형 3색 교통 신호를 지탱하는 깃대에 7m의 길이 옆 LED장치를 장착하는 방식이다.이 보조 장치는 운전자가 안개의 호우 등으로 정면을 예측하기 힘들거나 차체가 높은 버스 화물차를 맞닥뜨렸을 때 시야를 확보하도록 돕는다는 취지에서 8월 강원 삼척시가 처음 도입했다.아이디어를 지역 LED등 생산 회사가 내고 지방 자치 단체가 받아들인 사례다.이후 이 보조 장치가 전국에 알려지면서 다른 지자체도 도입을 서둘렀다.충남 당진시와 김제시가 설치하고 다른 지자체도 설치를 알아보고 있다고 한다.문제는 싱호봉 1개에 2200만원에 이르는 가격이다.전국 차량의 신호 47만 여곳 중 10%만이 설치해도 1조 원이 넘는 정도 걸리며 유지 관리비는 별도이다.싱호봉이 설치된 세곳은 평소의 통행량이 많은 지역도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김제시 관계자는 “미관상 뛰어나다는 의견이 많아 내년에 추가 설치를 고려하고 있다”라고 말했다.의무 사항이 아니라 신호 보조 장치를 기르려면 지자체가 앞장 서는 것은 예산 낭비이고 포퓰리즘의 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경찰의 교통 전문가들은 일렬 싱호봉이 오히려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삼거리 이상의 사거리는 야간에 LED등이 교차로에 진입하는 다른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싱호봉의 설치를 둘러싼 논란은 개당 1000만원을 넘는 보행자용’저점 신호’와 비슷한 면이 있다.2019년 3월에 도입된 바닥의 신호는 스마트 폰을 보면서 걷는 행인들 문제를 해결한다는 이유로 전국 지방 자치 단체가 경쟁적으로 설치했다.당시에도 경찰은 “보행자에게도 주의 의무가 있는데 마구 설치하는 것은 문제”고 말했다.바닥의 신호는 5년간 약 2200억원이 투입되며 전국에 만 1000여개 설치됐다.경찰청 관계자는 “신호 보조 장치를 설치할 때는 시·도경청 교통 안전 심의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 한다”,”면밀히 효과를 검토한 후 설치를 승인했다”이라고 말했다.박 시온/쵸쵸루오 기자 [email protected]